홍익시디 프린트실 아카이브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과 7층의 중심에는 많은 학우들이 애용하는 프린트실(R713)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번 홍익시디 소식지 9월호에서는 프린트실장 두 명의 인터뷰로 역대 프린트실의 발전과정의 부분과 현재 프린트실이 추구하는 방향성과 작은 에피소드들에 대해 담아보았습니다. 또한 여러 장비들에 대한 소개와 함께 적절한 사용법과 조언을 담아 학우들의 프린트실 사용을 독려하고자 합니다.
인터뷰

그래픽 디자이너, 오혜진
배움을 통해 새로운 디자인을 만들어나가는 그래픽 디자이너 오혜진 님을 인터뷰했습니다. 이번 9월호에서는 ‘그래픽 디자인’ 이라는 폭넓은 분야를 다루며, 단순 작업 방식과 기법에 대한 내용을 넘어 디자이너가 가져야 할 배움의 자세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세상과 본인의 작업에 대해 계속해서 질문하고 이해하고자 하며, 그 과정 속 파생되는 가능성을 탐구하는 오혜진 디자이너의 작업관을 인터뷰를 통해 만나보세요.
소식

9월 소모임 돌아보기
2025년 9월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과에는 다양한 전문 분야에 대해 깊이 있게 탐구하는 10개의 학술 소모임이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올 상반기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과 학술 소모임이 선보인 여러 전시를 돌아봅니다.

전시 《홀려라》
2025년 7월 26일(토) - 8월 18일(월)
안상수 동문의 개인전 《홀려라》가 도쿄에 있는 츠타야 서점 '긴자 아트리움'에서 열렸습니다. 이 전시에서는 한글을 주제로 한 타이포그라피 작품이 전시되며, 일본 가나 글자에 접목한 상징적인 작품도 선보입니다. 영상 작품 〈알파에서 히읗까지〉는 신주쿠의 한국문화원 미디어파사드에서 상영되며, 도쿄 긴자와 신주쿠를 가로지르는 전시로 확장됩니다.

수상 한국디자인학회 대학생 학술대회(DSUS) 우수논문상
2025년 6월 7일(토) - 6월 12일(목)
박서연, 정초원, 허유진 학우가 속한 팀(지도교수: 윤재영)이 한국디자인학회 대학생 학술대회(DSUS)에서 「AI는 연애의 조력자인가, 대리자인가: 데이팅 컨시어지의 윤리적 인터랙션 디자인 제안」으로 우수논문상을 수상했습니다. 연구팀은 AI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데이팅 서비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를 탐구하고, 사용자의 자율성과 감정이 어떻게 지켜질 수 있는지, 윤리적인 디자인은 무엇인지 깊이 탐구한 성과를 발표하였습니다.

전시 《뿔》
2025년 9월 6일(토)-9월 7일(일),
2025년 9월 13일(토)-9월 14일(일)
백준열 동문이 기획하고 나준흠 동문이 참여한 전시 《뿔》이 중구 신당동의 한 임대 사무실에서 열렸습니다. 본 전시는 16인의 창작자가 참여한 릴레이 드로잉 프로젝트로, 작가들이 정해진 순서에 따라 드로잉을 이어가는 과정과 완성된 결과물을 두 기간으로 나누어 선보였습니다. 이는 다듬어지지 않은 생각과 의도를 드로잉을 통해 탐색하고 이해해나가는 과정을 관람객에게 직접 보여줍니다.

전시 《Paper by Paper》
2025년 6월 9일(월) - 6월 30일(월)
나준흠, 한준석 동문이 참여한 전시 《Paper by Paper》가 중구에 있는 인더페이퍼 을지로에서 열렸습니다. 본 전시는 디자이너가 서로 다른 종류의 종이를 선택하고 물성을 고려하여 디자인한 포스터를 선보입니다. 더불어 다양한 특수지 위에 형광 토너 인쇄, 화이트 인쇄 등 다채로운 인쇄 기법을 사용하여 종이마다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합니다.

수상 PRINT Awards 2025 Winner
2025년 6월 23일(월)
장성환 동문의 203인포그래픽연구소가 PRINT Awards 2025에서 데이터 시각화 부문으로 2·3위를 수상했습니다.
세종대왕 등 다양한 주제의 포스터가 수상작으로 선정되며, 한국적 스토리텔링과 시각적 혁신이 이번 세계 무대에서 주목받았습니다. 본 전시는 한국 인포그래픽의 창의성과 완성도가 세계적으로 인정받았음을 보여주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수상 크로아티아 Zgraf 학생 디자인 공모전
2025년 6월 18일(수)
손혁준 학우가 크로아티아에서 개최된 EDU Zgraf에서 수상하였습니다. 수상작 〈토끼굴 탈출하기〉는 ‘(Dis)pleasure to All’이라는 공모전 주제에서 출발하여 정보의 편향성에서 벗어나 우리가 익숙하게 받아들이는 것들을 의심하며 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 자세를 고취합니다. 선정된 작품은 인쇄되어 EDU Zgraf 전시에서 공개되었으며, Zgraf 공식 웹사이트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전시 《2025 PSO 공간대여 기획전시: 헤스티아의 화로 위에서》
2025년 6월 21일(토) - 6월 28일(토)
안채량 동문이 속한 팀 〈Objet Type〉이 참여한 전시 《2025 PSO 공간대여 기획전시: 헤스티아의 화로 위에서》가 김희수아트센터 Art Gallery2에서 열렸습니다. 〈Objet Type〉은 도자 브랜드 슬로렌스와 협업하여 디지털 환경의 폰트를 도자 공예를 통해 촉각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도자 공예 또한 디지털 환경에서 새로운 방식으로 해석되고 경험할 수 있는 작업을 선보였습니다.

전시 《CRADLE OF IMMERSION》
2025년 7월 23일(수) - 7월 28일(월)
권수현, 오성건 학우가 속한 팀의 전시 《CRADLE OF IMMERSION》가 종로구에 있는 갤러리 H에서 열렸습니다. 본 전시에서는 입체와 평면, 사운드와 그래픽 아카이브를 넘나드는 실험적인 작업을 선보입니다. 또한 자연스러운 감각을 통해 몰입을 유도하며 관람자, 작가, 감각 그리고 공간의 관계성을 탐색합니다.

수상 제 17회 DMZ 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2025년 9월 11일(목) - 9월 17일(수)
양지훈 동문이 제작한 다큐멘터리 〈도라지 불고기〉가 제 17회 DMZ 국제 다큐멘터리영화제 한국경쟁 장편 부문에서 특별상을 수상했습니다. 본 작품은 기존 매체 속 타자화되고 연민받는 존재인 재일조선인들을 다른 시각으로 담은 두 다큐멘터리를 엮어 선보입니다. 작가는 익명성을 통해 그들이 살아가는 환경의 이중성과 평범함을 편견 없이 표현하고자 했습니다.
아카이브

『ㅎㅇㅅㄷ 38-2』
『ㅎㅇㅅㄷ 38-2』는 미셸 투르니에가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을 통해 원작 소설 『로빈슨 크루소』의 주변 인물 방드르디에 집중했듯이, 주변부에 기꺼이 머무르며 그 중요성을 역설하는 창작자들을 소개합니다.
본 기록집에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창작자인 밤섬 해적단, 박현진, 곽혜지, 최범, 이말년, 귀귀, 강유선, 현태준, 정재완, 안데스, 장문정의 11가지 시선이 담겨져 있습니다. 이들의 작업과 철학을 통해 우리가 놓치고 있던 주변부의 의미와 가치를 재발견하고, 우리의 감각에 지속적인 자극을 선사합니다.
주변을 노래하는 열한 가지 시선이 담긴 『ㅎㅇㅅㄷ 38-2』는 아래 링크를 통해 전문을 볼 수 있습니다. 홍익시디 웹사이트의 ‘기록’ 탭에서 학과에서 발행한 다른 출간물도 두루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학사
2025학년도 2학기 시각디자인전공 복수전공/부전공 선발기준 안내 | 자세히 보기
2025학년도 학생증 신청안내 | 자세히 보기
2025학년도 2학기 온라인 성희롱·성폭력 예방교육 | 자세히 보기
2025학년도 2학기 졸업앨범 사진 촬영 안내 | 자세히 보기
홍익시디 소식지 5기 인사말
안녕하세요, 홍익시디 소식지 5기 편집팀 인사드립니다. 이번 2025년 9월호부터 취재 및 발행을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소식지를 구독하고 도움을 주시는 모든 분들께 언제나 감사드리며, 앞으로의 홍익시디 소식지에도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립니다.
고맙습니다.
홍익시디 소식지 5기
박세은, 박소현, 이상민, 지선아 드림
